상단 배너 이미지
신뢰할 수 있는 ESG 보고를 위한 데이터 관리 시리즈
ESG 실무 가이드

공급망 ESG 대응 기업이 알아야 할 EcoVadis 필수 가이드 - 인권 및 노동 1편

배정현

배정현

ESG 전문위원

EcoVadis 노동 및 인권 평가, 왜 중요한가?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ESG 경영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EcoVadis는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지속가능성 평가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EcoVadis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리 수준을 환경, 노동 및 인권, 윤리, 지속가능 조달 등 4가지 주요 축으로 평가하며, 총 21개 지속가능성 항목(Sustainability Criteria)에 점수를 부여합니다.

ecovadis 4pilar.png

이 중 노동 및 인권은 기업의 인력 운영과 협력업체 관리에서 공정하고 윤리적인 방법을 얼마나 실천하는 지를 평가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EcoVadis 노동 및 인권 평가의 중요성을 살펴보겠습니다. 또한, 기업이 얻을 수 있는 혜택과, 글로벌 기업들이 ESG 경영에서 직면하는 노동 및 인권 문제와 이를 해결한 실질 사례를 소개하겠습니다.

EcoVadis 노동 및 인권(Labour & Human Rights) 평가란?

EcoVadis의 노동 및 인권 평가는 기업 내부와 공급망 전반의 노동 관행을 평가합니다. 이 평가는 인권 존중, 공정한 노동 조건, 차별 금지, 강제 노동 및 아동 노동 예방 등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를 다룹니다.

EcoVadis 노동 및 인권 평가를 통해 기업은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1. 글로벌 기준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국제사회는 점점 더 엄격한 노동 및 인권 기준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EcoVadis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기업은 ILO(국제노동기구) 기준과 같은 글로벌 표준을 준수하고 있음을 입증할 수 있어, 글로벌 기준 충족이 가능합니다.

2. 평판 관리 및 리스크 감소가 가능합니다. 
노동 착취나 인권 침해 문제는 기업 평판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EcoVadis 평가는 이러한 리스크를 조기에 식별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법적 분쟁을 예방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3. 투자자 및 고객 신뢰 확보가 가능합니다.
윤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은 투자자와 고객들로부터 높은 신뢰를 얻습니다. EcoVadis에서 높은 노동 및 인권 점수를 획득하면 기업의 신뢰성과 지속가능 경영 역량을 입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더 많은 투자와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성장을 도모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됩니다.

4. 공급망 관리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EcoVadis 노동 및 인권 평가는 공급망 전반의 윤리적이고 공정한 시스템 구축을 지원합니다. 이는 단순한 평가를 넘어,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공급망을 유지하며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투명한 공급망 관리는 장기적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성장의 기반을 마련합니다.

EcoVadis 노동 및 인권 평가 부문의 핵심 항목은 어떤 것이 있을까? 

평가 항목

요구되는 증빙 자료 내용

근로자 안전 및 보건
(Employee Health & Safety)

직원들이 작업 중 또는 위험한 장비, 작업 방식, 유해 물질을 다룰 때 안전한 작업 환경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

근로 조건 
(Working Conditions)

근무 시간, 휴식 시간, 보수 및 복지와 관련된 관행

사회적 대화 
(Social Dialogue)

직원 및 직원 대표자들과의 건설적이고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단체교섭을 촉진하는 활동

경력 관리 및 교육
(Career Management & Training)

직원들을 위한 역량 개발 및 경력 발전 기회를 제공하며, 채용, 평가, 해고 절차와 관련된 활동

아동 노동, 강제 노동 및 인신매매
(Child Labor, Forced Labor & Human Trafficking)

기업 운영 및 공급망 전반에서 아동 노동, 강제 노동, 인신매매를 근절하기 위한 노력

다양성, 형평성 및 포용성
(Diversity, Discrimination & Harassment)

채용, 평가, 보수, 교육, 승진 또는 해고 과정에서 인종, 국적, 종교, 성적 지향, 성별, 연령, 장애 등으로 인한 차별을 방지하고, 신체적·언어적·심리적 괴롭힘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

외부 이해관계자의 인권 보호
(External Stakeholder Human Rights)

기업 운영이 외부 이해관계자에게 미칠 수 있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인권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UN 세계인권선언 기준에 따라). 예: 재산권, 토지 권리, 안전, 보안 및 자기결정권 보호

이 항목들은 국제노동기구(ILO) 협약, UN Global Compact 원칙, ISO 26000 등 국제 기준을 바탕으로 평가됩니다. EcoVadis는 기업의 정책, 실행 현황, 성과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노동 및 인권 분야의 지속가능성을 판단합니다.

글로벌 기업이 노동 및 인권 평가에서 겪은 문제와 이를 해결한 방법은?

1. H&M: 복잡한 글로벌 공급망 관리 
  • 문제점: 글로벌 공급망은 다양한 국가와 협력업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국의 노동 환경과 규제가 다릅니다. 특히 개발도상국에서는 아동노동, 강제노동, 열악한 근로 조건 등의 문제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사례: H&M은 섬유 생산 과정에서 협력업체의 노동 착취 문제가 드러나 비판을 받았습니다. 특히 일부 하청 업체가 강제노동을 사용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공급망의 투명성 부족이 지적되었습니다.
  • 해결 방안: H&M은 공급망 감사를 강화하고, 모든 하청 업체가 윤리적 기준을 준수하도록 정책을 재정비했습니다.
  1. H&M의 미얀마 공장 노동 착취 조사 관련 기사 (링크)
  2. H&M의 공급망 투명성 개선 노력에 대한 공식 성명 (링크)
  3. H&M의 미얀마 사업 철수 결정에 대한 기사 (링크)
  4. H&M의 공급망 전략에 대한 분석 (링크)
2. Nestle: 지역별 법적 규제 준수
  • 문제점: 각국의 노동법과 인권 규제가 서로 다릅니다. 일부 국가는 국제노동기구(ILO) 기준을 따르지 않아, 기업이 글로벌 기준에 맞는 정책을 설정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법적 규제가 미흡한 지역에서는 사업 운영이 노동 및 인권 평가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사례: Nestle는 코코아 공급망에서 아동노동 문제가 반복적으로 제기되었습니다. 아이보리코스트와 가나와 같은 지역에서는 노동법이 느슨하게 시행되고 있어 이러한 문제가 지속되었습니다.
  • 해결 방안: Nestle는 아동노동 감시 및 구제 시스템(CLMRS)을 도입해 아동노동을 감시하고, 지역 커뮤니티에 교육과 재정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1. Nestle의 코코아 공급망에서 아동노동 문제와 관련된 기사
    1. Global March Against Child Labour의 보고서 (링크)
    2. Systemic Justice 기사 (링크)
  2. Nestlé의 아동노동 해결 노력에 대한 공식 보고서 (링크)
  3. 국제코코아이니셔티브(ICI)의 Nestlé CLMRS 효과성 평가 보고서 (링크)
  4. Nestlé의 인권 및 지속가능성 정책 (링크)
  5. Nestlé의 코코아 공급망 평가에 대한 FLA 보고서 (링크)
  6. Nestlé의 아동노동 해결을 위한 혁신적 계획 발표 기사 (링크)
3. Apple: 노동 및 인권 정책 실행의 불균형
  • 문제점: 본사에서는 엄격한 노동 및 인권 정책을 수립했으나, 현지 지사나 협력업체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중소 협력업체는 정책 실행에 필요한 자원과 전문성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습니다.
  • 사례: 2019년 중국 Foxconn 공장에서 과도한 초과 근무, 학생 인턴 불법 고용 등의 문제가 발생, 2020년 Pegatron 공장에서 학생 근로자들이 야간 근무와 초과 근무를 강요받은 사실이 밝혀지는 등 Apple은 일부 협력업체에서 과도한 근무 시간과 열악한 근로 환경 문제가 발생해 비판을 받았습니다. 이는 협력업체가 Apple의 가이드라인을 제대로 준수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해결 방안: Apple은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정책 교육을 제공하고, 정기적인 실사를 통해 공장 감사, 시정 조치 계획, 검증 조치 등을 통해 준수를 강제하고 있으며, 위반사항을 확인하고 개선을 요구하는 프로세스를 강화했습니다.근로자 권리 보호를 위한 정책 이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1. 2019년 Foxconn 공장에서 발생한 과도한 초과 근무와 학생 인턴 불법 고용 문제 CNN 기사 (링크)
  2. 2020년 Pegatron 공장에서 학생 근로자들이 야간 근무와 초과 근무를 강요받은 사실을 BBC 기사 (링크)
  3. Apple의 공급업체 노동 관행 보고서 분석 (링크)
  4. Apple의 인권 정책에 대한 분석 (링크)
4. Nike: 이해관계자의 높아진 기대치
  • 문제점: 투자자, 소비자, NGO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은 기업의 노동 및 인권 관리에서 높은 투명성과 엄격한 기준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 확산으로 사소한 위반 사항도 기업 이미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사례: Nike는 1990년대 공급망 내 노동 착취 문제가 알려지면서 브랜드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이후 공급망 내 투명성을 높이고 Sustainable Manufacturing and Sourcing Index를 개발하며 신뢰를 회복했습니다.
  • 해결 방안: Nike는 정기적으로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발행하고,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여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1. Nike의 1998~2013년까지 노동 착취 문제와 그 이후의 개선 노력에 대한 Stanford GSB 케이스 스터디 (링크)
  2. Nike의 아시아 공장 노동 문제 공개에 대한 Yale Global Online 기사 (링크)
  3. Nike의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행: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강화 노력 (링크)
  4. 투자자들의 Nike에 대한 인권 관행과 공급망 투명성 개선 요구 기사 (링크)
  5. Nike의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를 다룬 Just Style 기사 (링크)
  6. Nike의 노동 문제 해결 노력에 대한 기사 (링크)
5. Samsung: 투명한 데이터와 증빙 자료 부족
  • 문제점: 많은 글로벌 기업이 노동 및 인권 평가에 필요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거나 증빙 자료를 준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근로자와의 소통 기록, 근로시간 데이터, 공급망 감사 보고서 등이 불완전하거나 부족한 경우가 흔합니다.
  • 사례: Samsung은 공급업체의 안전 규정 위반과 관련된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아 비판을 받았습니다.
  • 해결 방안: Samsung은 실시간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작업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외부 감사를 통해 자료의 신뢰성을 강화했습니다.
  1. 삼성 공급업체 감사 결과에 대한 BBC 기사: 구체적인 데이터 공개 되지 않음 (링크)
  2. 삼성의 중국 공급업체 노동 위반 사항에 대한 CBS News 기사 (링크)
  3. 삼성전자의 인권 실사 보고서: 노동 및 인권 위험 관리 시스템 적용 (링크)
  4. 삼성 SDS의 노동 및 인권 성명서: 인권 영향을 식별하고 예방 및 완화 조치에 관한 투명한 보고를 위한 노력 (링크)
6. Coca-Cola: 문화적 차이와 현지 상황 대응
  • 문제점: 다국적 기업은 운영 지역의 문화적, 사회적 관습의 차이로 이해관계자와의 소통부분의 개선과 마케팅전략의 적극수정이 요구되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노동인권 문제가 지역적 관행으로 여겨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 사례: Coca-Cola는 인도에서 노동자 착취와 환경 문제로 인해 현지 커뮤니티의 강한 반발을 받았습니다.
  • 해결 방안: Coca-Cola는 지역 커뮤니티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현지 상황에 맞춘 맞춤형 인권 정책을 도입하여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1. Coca-Cola의 인도에서의 노동착취 및 환경 문제에 대한 기사
    1. Major Rally Against Coca-Cola in India: Communities Oppose Proposed Coca-Cola Bottling Plant (링크)
    2. India sugar industry abuse (링크)
    3. Is your favorite soda “sweetened” with child marriage, hysterectomies and debt bondage? (링크)
    4. Coke and Corporate Accountability: Information Regarding Coca-Cola Inc.’s Human Rights and Environmental Justice Record (링크)
  2. Coca-Cola의 인도 문화 적응 마케팅 사례 (링크)
  3. Coca-Cola의 강제노동 및 아동노동 방지 정책과 노력 (링크)
  4. Coca-Cola의 인도 노동자 처우 개선 노력 (링크)
  5. Coca-Cola의 이해관계자 참여 전략 (링크)
7. IKEA: 공급망 감사 비용 증가
  • 문제점: 글로벌 공급망 내 모든 협력업체를 감시하는 데 드는 비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소기업 협력업체가 많은 경우에는 일괄적인 감사를 수행하기가 어렵습니다.
  • 사례: IKEA는 전 세계적으로 수백 개의 공급업체와 협력하며, 노동 조건 점검에 드는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문제를 겪었습니다.
  • 해결 방안: IKEA는 감사 프로세스를 디지털화하고, 위험도가 높은 지역과 협력업체에 우선적으로 자원을 배분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1. IKEA의 공급망 관리에 대한 노력: IWAY 감사 프로세스 (링크1, 링크2)
  2. IKEA의 위험 기반 접근 방식에 대한 설명: 효율적 자원배분 방법 (링크)
  3. IKEA의 디지털 전환 전략에 대한 분석: 공급망 관리의 디지털화 (링크)
  4. IKEA의 공급망 관리 혁신에 대한 보고서: AI로봇 기술도입 (링크)

글로벌 기업이 노동 및 인권 평가에서 직면하는 이러한 과제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려면 필요한 것은?

1. 공급망 감사 강화
  • 정기적인 공급업체 실사 및 현장 방문 실시
  • 제3자 감사기관을 활용한 객관적 평가
  • 위험도가 높은 지역과 협력업체에 우선적 자원 배분
2.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
  • 공급망 전반의 노동 및 인권 관련 데이터 수집 및 분석
  • 실시간 모니터링 및 보고 체계 구축
  • AI 및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 신뢰성 및 투명성 확보
3. 지역 맞춤형 정책 실행
  • 각 지역의 문화적, 법적 특성을 고려한 정책 수립
  • 현지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을 통한 정책 이행
  • 지역별 리스크 평가 및 대응 전략 수립
4. 이해관계자와 소통 강화
  • 각 지역의 문화적, 법적 특성을 고려한 정책 수립
  • 현지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을 통한 정책 이행
  • 지역별 리스크 평가 및 대응 전략 수립

이러한 접근법은 기업이 노동 및 인권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얻고, 글로벌 시장에서 신뢰받는 지속가능 기업으로 자리잡는 데 기여합니다. EcoVadis의 노동 및 인권 평가는 단순한 평가 도구를 넘어, 기업이 윤리적 경영과 지속가능성을 실천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나침반 역할을 합니다.


글로벌 공급망 ESG 대응 기업을 위한 EcoVadis 필수 가이드 - 인권 및 노동 2편에서는 인권 및 노동 정책 수립 방법과 실전 대응 전략을 안내 드리겠습니다.

배정현

배정현

ESG 전문위원

ESG 공급망 평가 전문가이자 ISO 9001, ISO 14001, ISO 45001 심사원 자격을 보유한 지속가능경영 전략 컨설턴트로서, 기업의 ESG 경영 내재화와 혁신, 시스템 구축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제안합니다. 또한, 조달청 사업 기획 및 협력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이 ESG를 통해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브랜드 전략과 디지털 마케팅 분야의 전문성을 활용해 기업의 ESG 스토리를 효과적으로 기획하고, 이를 전달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방안과 실행 가능한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더불어, 다큐멘터리 제작 및 교육 콘텐츠 기획 경험을 바탕으로 맞춤형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ESG 경영 고도화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에디터의 다른 글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