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 배너 이미지
신뢰할 수 있는 ESG 보고를 위한 데이터 관리 시리즈
ESG 실무 가이드

ESG실무자를 위한 주도적인 ESRS 학습 가이드라인

진성광

진성광

로그블랙 공동대표

Background

ESG 실무자라면 ESRS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유럽에 자회사를 두거나 수출 비중이 큰 기업이라면, 이미 ESRS 형식에 맞춘 보고서 작성 준비를 진행하고 있을 것입니다. CSRD 규제가 직접 적용되지 않는 기업이라도, 원청사로부터 밸류체인 관련 지표를 요구받을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국내의 KSSB(국내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등 다양한 규제도 ESRS와 상호운용성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미리 학습해두면 실무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의무 공시 초기이기 때문에, 전문 컨설턴트들도 우리 기업의 중대성에 맞춘 공시 기준의 모든 세부사항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컨설팅이나 IT솔루션을 활용하더라도 실무자가 ESRS 가이드를 깊이 이해하지 않으면, 정확한 이해관계자 요구 대응, 내부 설득, 컨설턴트와의 협업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업계 많은 전문가들은 ESRS 원문을 읽어보길 권장합니다. 기존 자발적 공시 대비 내용이 체계적이고 상세하며, EFRAG에서 지속적으로 가이드와 공식 문서들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원문은 다소 방대하지만, 기업 상황에 따라 중요한 부분을 선택적으로 학습하면 분명 얻어가는 것들이 있을 것입니다.

실무자로서 ESRS를 주도적으로 학습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중심을 잡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여러 현업의 ESG 실무자들과 함께 학습하며 이 가이드를 정리했습니다. 이 자료가 ESRS 학습을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유용한 자료 먼저 참고하기

기존에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나 SASB(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와 달리 ESRS는 법률 텍스트 형식으로 되어 있어 처음 접근하기에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처음부터 원문에 뛰어들기보다는, 웨비나, 블로그, 컨설팅 자료를 통해 기본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양한 자료가 있지만 한국회계기준원에서 정리한 자료를 먼저 추천드립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자료는 KRX ESG 포털의 자료실에서 ESRS라고 검색하면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그 외 유용한 자료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겠습니다.

image (5).png

이 자료를 통해 ESRS 공식 문서의 종류와 구조를 이해하고, 주요 개념과 용어들에 익숙해지며, 총 86개의 공시 요구사항 있다는 점과 각 공시 요구사항이 4가지 공시 영역으로 구분된다는 사실을 파악하면 좋습니다.

  • 포괄적 기준(Cross-cutting standards): ESRS 1(일반 요구사항), ESRS 2(일반 공시)
  • 주제별 기준(Topic standards): 환경(E1-E5), 사회(S1-S4), 지배구조(G1)
  • 이행 지침(Implementation guidance): IG1(Materiality Assessment), IG2(Value Chain), IG3(ESRS Data Points)

ESRS Set1의 구성과 공시 요구사항

포괄적 기준기준명공시 요구사항(DR)
ESRS 1일반 요구사항 (General requirements)-
ESRS 2일반 공시 (General disclosures)16개
주제별 기준  
ESRS E1기후변화 (Climate change)9개
ESRS E2오염 (Pollution)6개
ESRS E3물과 해양자원 (Water and marine resources)5개
ESRS E4생물다양성과 생태계 (Biodiversity and ecosystems)6개
ESRS E5자원사용과 순환경제 (Resource use and circular economy)6개
ESRS S1전 종업원 (Own workforce)17개
ESRS S2가치사슬 내 근로자 (Workers in the value chain)5개
ESRS S3영향을 받는 지역사회 (Affected communities)5개
ESRS S4소비자와 최종사용자 (Consumers and end-users)5개
ESRS G1사업행동 (Business conduct)6개
총계 86개

공시 요구사항의 4가지 보고 영역

4가지 보고영역
거버넌스GOV임팩트, 위험 및 기회를 모니터링, 관리 및 감독하기 위해 사용되는 거버넌스 프로세스, 통제 및 절차
전략, 비즈니스 모델SBM기업의 전략 및 사업 모형이 중요한 임팩트, 위험 및 기회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임팩트, 위험 및 기회IRO(1) 임팩트, 위험 및 기회를 식별하고, 중요성을 평가
(2) 정책 및 조치를 통해 중요한 지속가능성 사안들을 관리
 
지표, 목표MT설정한 목표에 대한 진척을 포함하여 성과를 측정하는 방법

2. ESRS Set1 문서를 웹에서 확인하자.

ESRS Set1 원문 PDF는 ‘Sector agnostic standards (set 1 ESRS)’에서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서의 크기가 크고 매번 열어보기에 접근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웹 기반 자료를 활용하면 편리합니다. 좌측 목차에서 원하는 문서 위치로 이동해 확인할 수 있고, 브라우저에 있는 번역 기능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창을 두 개 띄워놓고 용어집과 부록을 실시간으로 대조하며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ESRS_document.png
  1. 목차에서 원하는 문서 위치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2. 약어(Acronyms)와 문서에 정의된 용어(Defined Terms)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의된 용어는 ESRS 문서에서 볼드체 및 이탤릭체로 표시됩니다. 법률 용어는 직역으로는 정확한 뉘앙스를 전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국내 자료에서는 동일한 용어가 여러 방식으로 번역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합니다. 따라서 원문과 한글 자료를 번갈아 보며 이해하는 것이 유용합니다.
  3. 각 문서의 목차에서는 공시 요구사항(DR)이 GOV, SBM, IRO, MT의 네 가지 주요 보고 영역(DR Area)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4. 예를 들어 위 이미지에서 E5에서 공시 요구사항(DR)은 E5-1부터 E5-6까지 총 6개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Cross-cutting standards인 ESRS 2의 IRO-1은 여러 주제별 기준에 걸쳐서 나와 개수에서 제외합니다.
ESRS_document_2.png
  1. 마지막으로, 각 Paragraph은 주제별 기준 내에서 고유한 번호가 매겨져있습니다. 이러한 번호는 특정 주제에 대해 소통하거나 참조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Appendix의 적용 요구사항(Application Requirements)은 AR 1, AR 2와 같이 번호가 매겨집니다.

3. IG1, IG2, IG3를 먼저 살펴보자

EFRAG은 2024년 5월 31일, IG1 Materiality Assessment, IG2 Value Chain, IG3 ESRS Data Points 등 세 가지 ESRS 이행 지침을 최종 발표했습니다. 이 지침은 기업이 ESRS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고 준수하는 데 유용한 내용을 담고 있어 원문을 읽기 전 먼저 살펴보면 좋습니다.

IG1 Materiality Assessment

IG1은 ESRS의 중요성 평가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본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 특히, 임팩트 중요성재무적 중요성이라는 두 가지 핵심 축을 기반으로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련 중요 이슈를 평가하고 중요도에 따라 공시 범위를 결정하는 방법 안내 등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FAQ가 문서의 절반을 할애할 정도로 방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materiality_assessment_process.png

정해진 프로세스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중요성 평가를 수행하는 4가지 단계를 예시로 제시합니다. ESRS IG1 문서에서는 각 단계별로 명확한 가이드를 제공하여 실무 적용을 지원합니다.

  • Step A: 맥락 이해 (Understanding the Context)
  • Step B:  실제 및 잠재적 영향, 리스크, 기회(IRO) 식별
  • Step C: 중요성 결정
  • Step D: 공시 (Reporting)

IG2 Value Chain

IG2는 CSRD와 ESRS의 가치사슬 관련 공시 요구사항을 소개하고 설명하며,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기업의 지속가능성 영향을 평가하고 이를 공시 데이터에 통합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특히, 정책(Policies), 목표(Targets), 지표(Metrics)를 포함한 데이터 관리의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제시하며, IG1에서 다룬 중요성 평가와 긴밀히 연계된 내용을 다룹니다. IG2는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에서 발생하거나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IROs(영향, 리스크, 기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해야 하는 점을 강조합니다. IG1과 마찬가지로 FAQ 섹션을 통해 실무에서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과 사례를 제시하여, 요구사항 이행을 위한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

ValueCahin_Requirements.png
  • 가치사슬 지도(VC coverage map)를 통해 ESRS 공시 요구사항 별로 요구하는 가치사슬 정보의 종류를 분류하여 제공

IG3 ESRS Data Points

IG3는 ESRS 공시 요구사항의 세부 항목 및 데이터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앞서 총 86개의 공시 요구사항(DR)을 확인했다면, IG3를 통해 각 DR에 포함된 세부 데이터포인트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IG3는 설명노트와 엑셀 파일로 나뉘는데, 엑셀 파일은 웹 상에서 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러면 2번에서 언급한 ESRS 웹문서와 연동하며 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엑셀 포맷의 데이터 포인트는 데이터 격차 분석(Gap Analysys) 및 공시 준비 도구로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수집 작업을 위한 템플릿을 준비할 때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포인트별 데이터 타입(예: 정량적 또는 정성적)과 전환 조항 적용 여부 등의 추가 정보도 제공합니다. 또한 DR과 부록에 있는 AR 매핑 정보를 제공해서 복잡한 문서 탐색의 어려움을 줄여줍니다.

EFRAG_IG3.png
  1. DR(Disclosure Requirements)과 연관된 AR(Application Requirements)을 매칭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셀에 적용된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하는 ESRS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빨간 글씨로 표시도 되어서 확인하기 쉽습니다.
  3. narrative, semi-narrative, Table, monetary 등 데이터 형식을 분류해두어서 정량/정성 데이터를 구분하여 볼 수 있습니다.
  4. ESRS 기준별로 시트가 나누어져서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최신 AI 기술로 학습 효과 높이기

AI 도구(예: ChatGPT)를 활용하면 방대한 ESRS 원문을 맥락에 맞게 효율적으로 번역하고 요약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습 시간을 단축하고 실무에 바로 활용 가능한 나만의 자료를 얻을 수 있습니다. 구글 번역보다 좀 더 맥락에 맞춘 번역이 가능하기에 최신 기술 활용을 권장드립니다. 단순히 누군가 요약한 문서를 읽기보다는 스스로 번역하고 정리하는 과정에서 주요 키워드와 개념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특히, 번역 과정에서 매번 다르게 표현되는 용어들을 비교하며 익히는 데 유용합니다. 또한,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이 있다면 AI 도구에 부연 설명을 요청해봐도 좋습니다. 최신 AI 도구는 웹상의 관련 자료를 참조하여 답변을 제공해주니 100% 정확하진 않지만 직접 탐색하는 시간을 줄여줍니다.

5. 실무적 궁금증은 업계 네트워크를 통해 해결

어디 물어보기 애매한 사소한 고민이 있나요? 생각보다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는 분들이 있습니다. ESRS와 관련한 실무적 질문은 업계 네트워크나 커뮤니티를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전문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필요 시 전문 컨설턴트와 협업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EFRAG ESRS Q&A Platform]를 확인해보세요. 찾아보기 쉽게 되어 있진 않지만 살펴보면 보물같은 내용들이 많이 있습니다.

Conclusion

ESG 실무자로서 ESRS를 학습하는 몇가지 팁을 알아보았습니다. 학습을 위한 더 나은 방법들은 항상 있으니, 자신만의 노하우가 있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또 여러 실무적인 어려움이나 궁금한 점은 자사가 함께 협업하는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해 도와드릴 수 있으니 skjin@logblack.com으로 언제든 편하게 문의주세요. 함께 해결해 나가겠습니다.

Reference

진성광

진성광

로그블랙 공동대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업무가 지속가능하도록, ESG 실무자분들에게 도움 되는 제품과 글을 전달하고자 합니다.
에디터의 다른 글보기